커뮤니티

GKS Alumni Association

home   홈 커뮤니티 동문 소식

동문 소식

동문 소식

총 게시물 70

202212090134322195.jpg [GKS 동문회 소식/GKS Alumni Association News]/필리핀 필리핀 동문회 소식입니다.필리핀 GKS 동문회(GKS PHAA)가 지난 11월 19일, 네 번째 정기모임을 개최했습니다. 김보람 필리핀 동문회 고문 겸 주필리핀 한국대사관 1등 서기관께서 행사의 막을 여는 축사에 이어 2022-2025년 재임하게 될 신임 임원진의 선서식을 진행해주셨습니다. Maria Lynette Callanta(2013년 초청) 동문이 새로운 동문회장으로서 2025년까지 동문회를 이끌어줄 예정입니다. 이 자리에서 신임 임원진의 취임식 또한 이루어졌습니다. 2022부로 필리핀 동문회 회원은 38인이 되었습니다. 현임 회장이자 GKS 홍보사절인 Ronel Laranjo 동문은 지금까지 동문회가 거두어온 성과를 보고하였으며 신임 회장 Callanta 동문은 이후의 동문회 활동 계획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필리핀 동문회 임원진과 회원들은 더불어 지난 11월 16일, 주필리핀 대한민국대사관이 주최한 2022년 AlumNight(동문회의 밤)에 참석하였습니다. 한국의 다양한 대학에서 유학한 필리핀 동문들 및 여타 장학금 수혜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GKS Philippines Alumni Association (GKS PHAA) held its 4th General Assembly last November 19. First Secretary and GKS PHAA Adviser Boram Kim gave the opening remarks and lead the oath-taking of the new set of officers from 2022-2025. Ms. Maria Lynette Callanta, 2013 fellow, is the new president of the organization and will lead from 2022 to 2025. New members were also inducted. As of 2022, the association has 38 official members. Outgoing President and GKS Publicity Envoy Prof. Ronel Laranjo reported the association's accomplisments for the past year while Ms. Callanta, the new president, presented her plans for GKS PHAA.GKS PHAA officers and members also attended the AlumNight 2022 hosted by the Korean Embassy in the Philippines last November 16. It was a night of networking for Filipino graduates of different universities in Korea and recipient of different scholarships. 2022-12-02
202212090134159730.jpg [GKS 동문회 소식/GKS Alumni Association News]/몽골 몽골 동문회 소식입니다.지난 11월 18일, 몽골 울란바타르 시에서 몽골 GKS 동문회 “동문의 네트워크”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본행사는 동문회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몽골 한국대사관 이정원 서기관님 인사 말씀으로 막을 열어 동문들의 동문회 활동에 대한 소감 나눔으로 채워졌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2년만에 치러지는 행사인만큼 동문들이 모처럼 서로의 안보를 묻고, 그동안 하지 못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금번 행사에서 앞으로 동문회 활동 활성화를 위해 차기 회장 및 회장단이 참석자 전원일치로 선출되기도 했습니다. 선출된 임원들은 올해 계획과 향후 몽골 동문회 활동 방향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누었으며, 동문들의 적극적 참여와 지지를 당부하였습니다.​몽골 동문회는 향후 몽골 사회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하고 폭넓은 활동을 통해 GKS 프로그램을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각자의 자리에서 몽골과 한국을 잇는 다리로서 양국 관계가 더욱 공고히 구축되도록 하는 데 기여할 계획입니다.News from MongoliaOn November 18, the Mongolia GKS Alumni Association held an "Alumni Network" event in Ulaanbaatar, Mongolia. The event, which was attended by 30 alumni, opened with a welcome greeting by Lee Jung Won, the Secretary of the Korean Embassy in Mongolia, and followed by a session where the alumni shared their thought and experience on the alumni association's activities. As this was the first event to be held after two years due to COVID-19, it was a valuable time for the alumni as they are able to catch up with each other over the years. In addition to that, the next Mongolia GKS Chairman and executives were unanimously elected at the event to further revitalize alumni activities in the near future. The elected executives shared their future activity plans for the Mongolian Alumni Association and asked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the alumni.The Mongolian Alumni Association will continue to play a role in the promotion of GKS program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2022-11-30
202212090133520690.jpg [GKS 동문회 소식/GKS Alumni Association News]/우즈베키스탄 지난 10월 21일, 타슈켄트 아주대에서 우즈베키스탄 GKS 동문회가 개최되었습니다. 10인의 GKS 동문들과 김희상 주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대사, Muratov Gayrat 타슈켄트 아주대 총장, 팽주만 타슈켄트한국교육원, Mamadiyev Gayrat GKS 동문회 회장 등 국내외 내빈들이 참석자로 자리하였습니다. 김희상 대사는 동문회의 활발할 활동 및 양국 교류에의 기여에 감사를 표한다는 축사로 본 행사의 막을 열었으며, 향후에도 동문회 발전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습니다.Mamadiyev Gayrat 동문회 회장은 올해 중으로 개최 예정인 동문회 행사 및 향후 일정을 안내했으며 나아가 내년 활동에의 비전과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행사 이후 타슈켄트 아주대 학생들을 위한 GKS 프로그램 브리핑 세션이 개최되었으며, 200여 명의 학생들이 한국 유학에의 관심을 표했습니다. 브리핑 세션에서는 GKS 동문회 소개 및 한국 유학 관련 질의응답, 퀴즈 등의 식순이 진행되었습니다!On last October 21, the Uzbekistan GKS Alumni Association held the 'Uzbekistan GKS Alumni Meeting' at Ajou University in Tashkent. The meeting was attended by 10 GKS alumni, domestic and foreign guests, including Korean Ambassador to Uzbekistan Mr. Kim Hee Sang, AUT President Mr. Muratov Gayrat, director of Korean Education Center Mr. Pang Chu Man, and GKS Alumni Chairman Mr. Mamadiyev Gayrat. The event was opened with a congratulatory speech by Ambassador Kim Hee Sang in which he expressed his gratitude to the GKS alumni association for actively contributing in various activities and also the Ambassador expressed his will to continue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During the meeting, GKS Alumni Chairman Mr. Mamadiyev Gayrat introduced further alumni activities in 2022 and also his vision of restructuring plans and activities for 2023. After the meeting, a briefing session regarding GKS program was held for Ajou University students and around 200 students showed their interest in pursuing their studies in Korea. The briefing session included the introduction of the GKS alumni association, Q&A session related to studying abroad, and also quizzes related to Korea! 2022-11-18
202211090226080760.jpg [GKS 동문회 소식/GKS Alumni Association News]/필리핀 지난 10월 21일, 필리핀 GKS 동문회가 2022 온라인 콜로퀴움을 개최했습니다.김보람 주필리핀 대한민국대사관 제1서기관이 축사와 함께본 행사의 취지를 소개하였습니다. Ivy Angel Gutierrez Estrella 동문(2017년 초청, 한양대학교)은 석사학위논문 "Learning Mathematics in Two Languages: Students’ Use of Code-Switching and Code-Mixing in Filipino Mathematics Clas"을 공유하였습니다. 수학교사로 장기간 경력이 있는 Delia Mendoza씨와 언어문화교육 전문가 Jovy Peregrino 박사가 발표와 관련하여 통찰력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였습니다. Michelle Palumbarit 박사가 본 행사를 담당, 관리하였습니다. 필리핀 동문회 회장과 GKS 홍보사절을 겸하고 있는 Ronel Laranjo 동문이 필리핀 동학들에게 필리핀 국내의 사회적 이슈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색다른 견해들을 얻을 수 있도록 유학을 권하는 폐회사를 전하며 콜로퀴엄의 막을 내렸습니다.​GKS Philippines Alumni Association (GKS PHAA) held its annual 2022 Online Colloquium last October 21, 2022.First Secretary Boram Kim of the Korean Embassy gave the opening remarks and introduced the importance of the colloquium. Ms. Ivy Angel Gutierrez Estrella, 2017 GKS Fellow and a graduate of MA Mathematics Education in Hanyang University shared her master’s thesis entitled “Learning Mathematics in Two Languages: Students’ Use of Code-Switching and Code-Mixing in Filipino Mathematics Class.” Ms. Delia Mendoza, a long-time mathematics teacher and Dr. Jovy Peregrino,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expert gave their insightful reactions to the topic. Dr. Michelle Palumbarit moderated the online event. GKS PHAA President and GKS Publicity Envoy Ronel Laranjo concluded the colloquium with his closing remarks by encouraging Filipino scholars to study abroad to gain a different perspective on solving Philippine society’s issues.​ 2022-11-09
202211040312317649.jpg [GKS 동문회 소식/GKS Alumni Association News] 지난 10월 21일, 한국 GKS 동문회가 부산에서 개최된 '불편한 음악회'에 참가하여 환경과 현대 사회의 환경 이슈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봉사활동에 나섰습니다. 본 행사에서 동문회는 환경오염의 여러 유형과 관련된 의제들을 두고 토론하였으며 일상습관으로서의 재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나아가 어린이, 어르신, 학생, 가족 단위에서 보이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제고되고 있으며, 텀블러 사용 등을 통해 이전에 비해 차세대가 환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실천을 이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기성세대 어르신들의 친환경 제품 사용 촉진 또한 향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동문회 부스에 찾아온 많은 참석자들은 환경 관련 이야기뿐 아니라 파키스탄과 인도의 쿠키, 몰도바의 주스 등 세계의 다양한 간식을 나누고 즐기기도 했습니다. 참석자와 봉사자 모두 각국에서의 경험을 나누며 함께 우리 사회의 환경 및 다문화 의식을 한층 높일 수 있었던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On October 21, GKS Alumni Korea participated in the 불편한 음악회 held in Busan and volunteered in raising awareness regarding our environment and the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Throughout the event, our alumni discussed topics surrounding different types of pollution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cycling as a daily habit. Children, students, families, and elders showed interest in learning more about the environment and GKS Alumni learnt that the younger generation are more awar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as they use tumblers more often than the elders; therefore, the promotion of reusable items among seniors is deemed important.In addition, many participants that came to the booth and discussed about the environment also enjoyed some international snacks, such as cookies from Pakistan and India with juice from Moldova. In conclusion, participants and volunteers were happy to be able to share their background and experiences from home counties and further promote multiculturalism within the community. 2022-11-04
1 2 3 4 5 6